본문 바로가기

[백엔드TIL]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66일차)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먼저, 객체는 실제 세계에서 존재하는 사물이나 개념 등을 프로그래밍에서 표현한 것입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는 메소드를 하나로 묶어서 객체를 만들고, 이러한 객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는 메소드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클래스라는 개념으로 정의합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객체가 가져야할 속성과 행위르 정의합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특징 중 하나는 상속입니다. 상속은 부모 클래스의 특성을 물려받는 개념으로 이미 만들어진 클래스를 상속받.. 더보기
[백엔드TIL] github Actions 개념 (65일차) 도입 배경 1. #PR 을 올림 2. #코드리뷰 완료 3. Merge 시킴 4. development 브랜치를 빌드 & 배포 5. development 테스트 후 통과 6. master 브랜치로 머지 후 빌드 & 배포 ​ 이런방식으로 개발을 하는데, 4번 dev 브랜치에 머지된 코드를 배포하기전 빌드를 하면 타입스크립트 에러가 난다거나 컴파일에러가 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사실 PR을 올리기전에 개발자가 각자 build를 해보고 올리면 좋으려만 ... 하고 있었는데 ​ #github 에서 #Action이라는 기능이 추가된 것이다. ​ 그래서 우리 프로젝트에도 PR을 올리면 #CI (npm run build 실행)가 돌도록 적용해 보았다. ​ 적용 방법 ​ 한줄 요약 .github/workflows/n.. 더보기
[Nextjs, Typescript] 프로젝트에 Prettier + ESlint 설정하기 Prettier + ESlint 설정 팀 프로젝트는 Prettier 포맷터 설정과 ESlint 린터 설정이 필수인 것 같다. 따움표 스타일 정도는 맞출 수 있을지 모르지만, 띄어쓰기나 들여쓰기, 개행 등 불필요한 diff가 발생할 수 있어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인터프리터 언어인 자바스크립트인 경우엔 컴파일 과정이 없으니, 사전에 에러를 잡아 줄 수 있는 린터의 역할이 크다. Prettier 다양한 포맷터를 사용해보지 않았는데, 그도 그럴 것이 개발을 시작할 때부터 formatter === Prettier 줄 알았다. 항상 vscode의 확장으로 쓰다가 팀 프로젝트를 위해 local 환경에서 설치하면서 Prettier 라이브러리에 대해 더 알아보았다. prettierrc는 json과 yaml,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