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TIL] 공간복잡도에 대한 이해 (67일차) 프로그램 복잡도 프로그램 계산 복잡도는 다음 두 가지 척도로 표현될 수 있음 시간 복잡도: 얼마나 빠르게 실행되는지 공간 복잡도: 얼마나 많은 저장 공간이 필요한지 좋은 프로그램은 실행 시간도 짧고, 저장 공간도 적게 쓰는 프로그램 (=알고리즘) 통상 둘 다를 만족시키기는 어려움 시간과 공간은 반비례적 경향이 있음 최근 대용량 시스템이 보편화되면서, 공간 복잡도보다는 시간 복잡도가 우선 그래서! 알고리즘은 시간 복잡도가 중심 하지만, 공간 복잡도는 기본이기 때문에 기본이 안되서 떨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공간 복잡도와 시간 복잡도 모두 빅 오 표기법으로 표현한다. = O(n) 1) O(n) 공간 복잡도 예시 1️⃣ n! 팩토리얼 구하기 재귀 함수를 통해서 구현하므로 변수 n에 따라서 변수 n이 n개가 만.. 더보기 [백엔드TIL] Https, SSL에 대한 이해 (66일차) HTTPS 개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의 약자 HTTP 는 전송되는 요청/응답 정보가 기본적으로 암호화 되지않아서 보안정보 도난의 위험이 있음 이걸 해결하기 위해 **SSL(보안 소켓 계층)**을 사용 SSL은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 안전하게 암호화된 연결을 만들 수 있게 도와주고, 서버와 브라우저가 보안정보를 주고받을때 해당 정보가 도난당하는 것을 막아줌 Secure Sockets Layer 의 약자 Netscape 사에서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간의 보안을 위해 만든 프로토콜 (규칙) 대칭키와 비대칭키 기반으로 사용함 SSL 인증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제3자가 보증해주는 전자화된 문서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한 직후에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이 .. 더보기 [react]번외 react router-pathname 대한 개념 이해 컴포넌트를 다른 페이지에 포함할 때, router.pathname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router.pathname은 현재 페이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속성입니다. 컴포넌트 내에서 이 값을 확인할 때, 컴포넌트가 렌더링된 현재 페이지의 경로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 컴포넌트가 어떤 부모 컴포넌트에 의해 렌더링되었는지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컴포넌트를 다른 페이지에 포함했을 때, 컴포넌트 내부의 router.pathname은 해당 컴포넌트가 렌더링된 현재 페이지의 경로를 나타냅니다. 즉, 부모 페이지의 경로가 아닌 현재 페이지의 경로입니다. 이는 React 컴포넌트의 특성으로, 컴포넌트는 그 자체로 독립적인 상태와 렌더링을 가지며, 부모 컴포넌트의 상태나 경로와는 무관하게 .. 더보기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