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엔드TIL] react , typecript 에대한 개념 학습(70일차) tyepscript 도입을 위해 공부를 해보았다. typeScript의 주요 특징 : 정적 타입: TypeScript는 변수, 함수, 클래스 등에 명시적인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이는 컴파일 시점에 오류를 잡을 수 있으며,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킨다. ECMAScript 호환: TypeScript는 JavaScript의 상위 집합이므로, 모든 JavaScript 코드가 TypeScript로 유효하다. 따라서 기존 JavaScript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타입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TypeScript는 인터페이스, 추상 클래스, 상속 등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개념을 지원하여 코드의 재사용성과 구조화를 촉진한다. 타입 추론: TypeScri.. 더보기
[React] react, next.js 사용시 쿼리스트링을 감춰야하는 경우 URL 에서 쿼리스트링을 감출 필요가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이 Next.js Router 의 push 함수의 두번째 파라미터 as (maskes url for the browser) 를 사용해서 쿼리스트링을 감출 수 있습니다. import { useRouter } from 'next/router' ... const router = useRouter() router.push( { pathname: '/sample', query: { testQuery: '12345' } }, '/sample' // 브라우저에 표시됨 ) 더보기
[백엔드TIL] 세션과 토큰그리고 인증과 인가 (69일차) 인증과 인가 세션기반 인가와 토큰기반 인가에 대해 알아보기 이전에 먼저, 인증과 인가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 인증과 인가를 같거나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텐데, 엄밀하게는 서로 다른 개념이다. 인증과 인가는 요약하자면 시스템의 자원을 적절하고 유효한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공개하는 방법이다. 인증 (Authentication) 인증은 쉽게 말하자면, 로그인 이다. 클라이언트가 자기자신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사용자가 맞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로그인 화면에서 내가 유저 아이디를 USER1 로 입력하고 패스워드를 입력해 제출하면, 서버에서는 내가 진짜로 USER1 이라는 유저가 맞는지 확인한다. 인가 (Authorization) 인가는 인증 작업 이후에 행해지는 작업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