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TIL] TCP, UDP 특징과 차이점 오늘은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쉽게 말해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합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있는데, 그 프로콜들이 바로 오늘의 주인공 TCP와 UDP입니다. 원래 TCP와 UDP에 대한 글을 포스팅 할 생각은 1도 없었는데, UDP 채팅 서버를 구현해야하는 과제를 하는 과정에서 부족함을 느끼고 공부의 목적으로 포스팅을 결심했습니다. 많이들 알고 계실텐데 그래도 확실히 집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송계층이 어디있나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OSI 7layer와 TCP/IP 4layer에 대한 사진도 첨부합니다~ 1. TCP(Transmission C.. 더보기 [백엔드TIL] AWS serverless 개발 -cognito 개념 AWS cognito란? - 유저 계정 관리, 자격증명(토큰 관리)를 따로 DB사용과, Security 구현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AWS 기능. User pool(사용자풀) - 사용자 가입 및 로그인 기능 담당 Identity Pool (자격 증명 풀) - AWS 엑세스에 필요한 임시자격증명 - AWS 내의 서비스(S3 등)에 접근하기 위한 토큰 생성 가능 - 토큰은 jwt기반 자격 증명 토큰(jwt) 구조 - "iss": https://cognito-idp.{지역}.amazonaws.com/{유저풀id} - 유저 풀 id는 aws에서 조작 - "username" : 필수 입력해야함. AWS cognito 아키텍처 방안 1. 프론드엔드단에서 가입, 자격 증명하기 - 장점: 구성 쉬움(백엔드 없음) .. 더보기 [백엔드TIL] OOP(객체지향프로그래밍) 개념 OOP란?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하여 속성(Attributes)와 행위(methods)를 가진 객체를 만들고, 그 객체들 간의 유기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이다. 데이터를 중심으로 필요한 기능을 함수로 구현하는 방식의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달리, OOP에선 데이터와 함수들을 묶고 이를 객체로 관리한다. 객체라고 하면 뭔가 말이 어렵고 한데, 그냥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구조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위 그림을 예시로 들면 우선 데이터는 '돈', '잔돈', '제품'이다. 앞서 절차 지향에선 데이터(돈, 잔돈, 제품)를 행위와 별도로 생각한다고 했다. 그래서 절차 지향에선 데이터에 대한 모든 행위를 '~돈을 ~', '~잔돈을~', '~제품을~'의 식으로 표.. 더보기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