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TIL] REST API 설계 시 고려사항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API를 통해 프로그램에 요청을 전달하기위한 통로 혹은 방법 RESTful API에서 HTTP Method GET: 조회 (받겠다) POST: 리소스 생성 (보내겠다) PUT: 리소스 전체 갱신(놓겠다/넣겠다) DELETE: 리소스 삭제 (지정한 서버의 파일을 삭제하겠다) 설계 예 :id와 같이 변하는 값은 하나의 특정 resource를 나타내는 고유값이어야 합니다. REST API 디자인 가이드 REST API 설계 시 가장 중요한 항목은 다음의 2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두 번째,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 P.. 더보기 [백엔드TIL] JSP와 Servlet 개념 Server Side Applet인 Servlet에 대해여 정의하고 Servlet클래스를 만들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시오 -JAVA Servlet은 JAVA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 혹은 그 사양을 말하며, 흔히 "서블릿" 이라 불린다. 서블릿은 JAVA EE 사양의 일부분으로, 주로 이 기능을 이용하여 쇼핑몰이나 온라인 뱅킹 등의 다양한 웹 시스엠이 구현되고 있다. 서블릿은 외부 요청마다 프로세스보다 가벼운 쓰레드로써 응답하므로 보다 가볍다. 또한 , 서블릿은 JAVA로 구현되므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작한다. Servlet과 JSP의 차이점에 대하여 말해주세요 -servlet은 java 소스에 HTML코드가 삽입된다 -JSP는 반대로 HTML코드에 java코드가 삽입된다. .. 더보기 [백엔드TIL] DFS 개념 및 부분집합 문제 DFS · DFS(Depth-First Search)는 깊이 우선 탐색이라고 부르며,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 알고리즘 동작 방식 · 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한다. 1.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한다. 2.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있으면 그 인접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하고,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낸다. 3. 위의 1번과 2번 과정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 ‘방문 처리': 스택에 한 번 삽입되어 처리된 노드가 다시 삽입되지 않게 체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각 노드를 한 번씩만 처리할 수 있다. 부분집합 문제 설명 N개의 원소로 구성된 자연수 집합이 주어지면, 이 .. 더보기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