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스터디] 250121 해시 알고리즘 - 오늘의 학습 키워드해시 알고리즘  자바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다르게 Hash를 자주 사용합니다.그러면 어느 부분에서 사용되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Hash?해시 함수(hash function) 또는 해시 알고리즘(hash algorithm) 또는 해시함수알고리즘(hash函數algorithm)은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이다.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값은 해시 값, 해시 코드, 해시 체크섬 또는 간단하게 해시라고 한다해시란 보통 입력값을 임의의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바꿔주는 함수입니다.위 그림과 같이 key 값으로 이름이 들어왔다면 이를 고정된 길이의 문자열/정수 등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함수입니다.보통 key 값을 임의의 데이터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보기
[JAVA 스터디] 250120 hash 함수 - 오늘의 학습 키워드해시 함수   해시는 저장 또는 검색 등에서 자주 활용되는 자료구조입니다. 정확하게는 특정한 함수(알고리즘)를 통해서 값을 추출하고 활용하는 것인데요. 함수(알고리즘)를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따라 사용 용도와 성능이 달라집니다.이러한 해시는 더 나아가서 암호, 블록체인, 메시지 인증 코드 등에서도 활용됩니다.해시(Hash)해시(Hash)는 입력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된 값을 말합니다. 다른 말로는 '해시 값(Hash value), 해시 코드, 체크섬' 이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해시는 뒤에서 알아볼 '해시 함수'에 의해서 얻게 됩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데이터의 KEY 값이 해시 함수를 통해서 변환된 간단한 정수입니다. 이렇게 정수로 변환된 해시는 배열의 인덱스, 위치,.. 더보기
[JAVA 스터디] 250117 2차원배열 - 오늘의 학습 키워드2차원 배열, 배열 초기화  2차원 배열을 실제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여기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선언하는 방법과2차원 배열에 값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목표 : 2차원 배열에 값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1. 2차원 배열에 값을 저장 2차원 배열을 선언도 해봤고 구조도 어떻게 되어 있는지 알아봤으니이제 값을 저장하고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먼저 저장하는 방법이다.예시를 위해 2차원 배열을 만들어보자. 예시1)char[][] charArr = new char[4][2]; 이번에는 char타입의 2차원 배열을 선언해 보았다.구조는 앞에서 살펴봤던 2차원 배열의 구조와 거의 흡사하니 이 전의 글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