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엔드TIL] 정렬 알고리즘을 알아본다. 버블 정렬 (Bubble Sort)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며 큰 값을 뒤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정렬합니다. 전체 데이터를 순회하며 가장 큰 값이 맨 뒤에 위치하게 됩니다. 시간 복잡도는 최악 및 평균 경우에 O(n^2)이며, 간단하지만 비효율적인 정렬 알고리즘입니다. 삽입 정렬 (Insertion Sort) 배열을 정렬된 부분과 정렬되지 않은 부분으로 나누고, 정렬되지 않은 원소를 정렬된 부분에 삽입합니다. 삽입 정렬은 거의 정렬된 배열에 대해서는 효율적이며, 최선의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입니다. 하지만 최악 및 평균 경우에는 O(n^2)입니다. 선택 정렬 (Selection Sort) 주어진 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여 배열의 처음부터 차례대로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정렬합니다. 시간 복잡도는.. 더보기
[백엔드TIL] 도커와 도커 컴포즈 활용 만들어논 도커 이미지를 pull 하는 장면 도커 컴포즈 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의 옵션과 환경을 정의한 파일을 읽어 컨테이너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도커 컴포즈의 설정 파일은 도커 엔진의 run 명령어의 옵션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컨테이너의 의존성, 네트워크, 볼륨 등을 함께 정의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AWS] Route 53 도메인 연결 0. 호스팅 영역 클릭 1. 호스팅 영역 생성 클릭 2. 구매한 도메인 입력 (주의!!!! http등을 붙이지 않은 순수 도메인) ex) example.com 3. url 을 클릭하여 상세로 들어가기 4. 레코드 생성 값(Value)에 EC2 퍼블릭 IPv4 주소 적어주고 레코드 생성 퍼블릭 IPv4 주소 보기 더보기 더보기 5. 본인이 도메인을 구매한곳에 rounte53에서 만든 레코드에서 유형이 NS(NameServer 네임서버)인 것의 값 4개를 등록해준다. 도메인 구매 사이트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거의 동일하다. ex) godaddy dns관리 > 네임서버 등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