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 상황
로그인 요청을 날리고, AccessToken과 RefreshToken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는 것을 확인했다.
✅ 의문
JWT 토큰 인증을 구별하기 위해 Bearer을 사용한다는 말이 있다.
그렇다면 왜 Refresh Token 에는 Bearer이라는 키워드를 붙히지 않은 채로 돌아오는걸까?
Refresh Token도 JWT인데 문자열이 필요한게 아닌가? 라는 의문이 들었다.
refresh token도 결국 JWT인데 왜 "Bearer"을 안쓰는거지?
내가 개발을 잘못한건가?
✅ 해결
이런 의문이 들었던 것의 원인은 결과적으로 학습의 깊이감 부족이다.
나는 Bearer이라는 키워드를 JWT에 사용한다! 는 정도만 알아둔 채로 개발을 한거라서 의문이 생길수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Authorization에 해당하는 데이터 (access token) 는
토큰 유형을 구별하기 위해 (JWT/OAuth) bearer을 사용하는것이며
Refresh token은 만료되었는가 ? 를 체크하는 토큰
즉 Authorization에 포함되지 않는 토큰이라서 구별할 필요가 없다! 는것이 핵심이다
좀 더 자세하게 이 내용을 봤으면 의문 자체가 들수 없는데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라서)
아무튼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공부하면서 알게 되었으니 그걸로 만족한다 ㅎㅎ
728x90
'Programming > Web-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QueryDsl의 Q클래스 빨간줄 에러 뜨는현상 방지 (0) | 2024.01.30 |
---|---|
[Spring] In-Memory DB에 해당되는 H2 DB 사용방법 (0) | 2023.11.15 |
[Intellij] 인텔리j 플러그인 설치 방법 (Presentation Assistant, key promoter) (0) | 2023.07.26 |
[SpringBoot] 포스트맨 실행 시 에러 Error: Exceeded maxRedirects. Probably stuck in a redirect loop (0) | 2023.06.27 |
[SpringBoot] html페이지에서 Json 값을 객체로 받아올때 주의사항 (0) | 2023.06.14 |